이경림 개인전  12월 7일 부터 13일 까지 – K&P Gallery

 

 

 

사진 (1).JPG

이경림 개인전 

12월 7일 부터 13일 까지 K&P Gallery

 

 

이경림 작가의 전시를 개최하며……

 

성탄절이 들어있는 12월을 맞이하여 K&P Gallery 에서는 주 재료인 골판지를 이용하여 꼴라쥬 형식으로 작업을 하는 이경림 작가를 초대하여 전시를 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이작가는 서울대 미대 동양학과를 나와 국내에서 활발하게 작품활동을 하다가   3년전 뉴욕에 정착하였다. 재료의 특이성으로 이미 여러 나라에서의 전시를 통해 많이 알려지고 주목 받는 작품들이다. 이 시대의 새로운 트랜드인 재활용(recycling)을 넘어 upcycling의 신선한 작품들을 관람하실 수 있다.
 
산업 대량생산의 부산물인 골판지(corrugated cardboard)는 이 작가의 손길을 통하여 새로운 작품으로 탈바꿈 된다. 때로는 도시의 고층빌딩이 되기도 하고 숲이 되기도 하고 집과 꽃과 나무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작가는 골판지를 자르고, 찢고, 뜯어서 종이의 물성을 살려 재생되고 부활되어 새로운 작품으로 재 탄생된다. 화면 속에서 입체가 된 선은 새로운 질감과 함께 3차원의 종이부조가 된다. 자연과 함께 공존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맨하탄의 도시풍경이 탄생되고, 추억을 불러 일으키는 한국의 달동네의 전형을 간직한 부산의 감천동, 통영, 도시의 거리 풍경으로 탈바꿈 되었다..
 
 골판지의 재생과 부활이 현대생활의 지친 사람들에게 생기와 용기를 불어 넣어 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고 어렵게 마련된 전시이니 만큼 성공적인 전시가 되기를 바라며. 목마른 사슴이 시냇물을 찾듯이 우리들의 삶도 촉촉한 물기를 머금는 인생의 따뜻하고 활기찬 하모니를 이루었으면 한다.
 

 K&P Gallery New York 관장 김 숙기

 

,BB1 8x8inch mixed media 2017.jpg

 

The City-coexistence2 24x36inch mixed media 2017 (1).jpg

 

2017-08-08 16.05.07.jpg

 

 17_12_1 오전 10_53 Office Lens.jpg

 

2016-07-12 15.17.00.jpg

 

다음은 작가의 작품세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시회에 다녀온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뉴욕,뉴저지 동문회 손대홍 회장이 보내온 글을 소개한다.

 

한 해를 마감하는 12월의 첫 목요일 저녁 6, 뉴욕 첼시의 K&P 갤러리에서 이경림(회화 86) 동문의 전시회 오픈 행사가 있어 다녀왔습니다.

 

본교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1990년 졸업 후 한국에서 오랜 시간 작품활동을 해온 이경림 동문은 2015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뉴욕에서 작품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작품활동을 한 지는 2년 남짓이지만 한국에서는 34번의 개인전과 120여회의 그룹전, 그리고 국내외의 많은 아트페어에 참가하며 왕성한 활동을 해온 7일실력 있는 동문입니다.

 

127일부터 13일까지 일주일에 거쳐 열리는 개인전에는 23개의 작품을 전시하였으며, 이경림 동문이 2004년부터 작업을 시작한 골판지를 주로 사용하여 다른 재료와 함께 꼴라쥬 형식에 아크릴 칼라와 다시 아크릴 칼라의 광택을 최소화하는 방법의 작품이 선보이고 있으며, 최근에 새로 시도한 입체적인 작품도 전시가 되어 있습니다. 이경림 동문이 어떤 언론사와의 인터뷰를 하면서 자신의 작품을 설명한 기사를 보면 “     

 

자신의 작품에서의 골판지는 또 다른 측면에서재생부활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작품을 보는 안목이 부족한 저이지만, 어느 피사체 하나 소홀히 하지 않고 작가가 본 모습을 독특한 방식으로 강렬하게 화폭에 담아내는 작품을 보면서 많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특히, 최근에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는 한국 부산 감천동을 2~3개의 캔버스에 나누어 담아낸 작품은 강렬한 색들의 대비 속에 녹아 있는 작가의 섬세함과 표현력이 너무나 인상적이었습니다.
아울러 미국생활에서 뉴욕의 특징을 담은 소품들은, 미국으로 이주한 후 뉴욕이 갖고 있는 색을 상징적인 장소를 통하여 표현한 것인데 불과 2년 동안 그렇게 많은 완성도 높은 작품활동을 할 수 있었다는 것에서 이경림 동문의 작가로서의 열정과 성실함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이경림 동문의 예술적 재능은 자녀들에게도 이어져, 오늘 전시회를 빛내기 위하여 장남 이교혁 군이 클래식 기타 연주를 관람객들에게 제공했는데, 이 군은 스페인 왕립음악학교에서 기타를 전공한 재원으로 뉴욕에서도 연주회를 갖은, 장래가 기대되는 기타리스트라고 합니다. 장녀도 뉴욕의 FIT에서 쥬얼리를 공부하고 있어 여러모로 활약이 기대되는 가정이라는 생각입니다.

혹시 Subway를 이용하시면 23 st. Station이나 34 st. Station에서 12~3분 정도를 걸으면 27th Street에서 11th Ave.가 되기 전에 갤러리 건물이 있으며 전시회는 5층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아침 저녁으로 쌀쌀하기도 하지만 아직은 걸을만한 날씨인 것 같습니다.

 

 

 

 

 

 

 

 

 

 

KCC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