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 의 시를 노래한다” -눈오는 지도


“윤동주의 시를 노래한다”

윤동주의 시에 음악을 붙여 노래하며 연주하는

“눈오는지도” 의 작은 공연

 


 

일제 치하의 암울햇던 시대를 살았던 윤동주 시인의 아름다운 시에 곡을붙여 노래하며 연주하는 젊은 음악인들의 공연이 2월4일 토요일저녁, 뉴저지 릿지필드 에있는 1&9 갤러리에서 열렸다.

 

시의 제목에서 “눈오는 지도”라는 이름을 붙인 이들 젊은 음악 그룹은 윤동주 시인의 “별헤는밤”, 십자가”, 소년등의 시에 한은준 (눈오는지도의 리더)이 곡을 붙인 노래를 연주했다.

 

윤동주 시인은 당시 크리스천으로 일본의 통치에 저항한 지식인 이었지만 사상범으로 일제에 체포되어 27세에 감옥에서 고문 후유증으로 옥사 하고 만다.

한은준등 윤동주의 시를 사랑하는 젊은  크리스천 음악인들이 6년째 2월이면 그의 시에 음악을 붙여 연주 해 오고 있다.

 

오는 24일에는 캐나다 토론토에서 윤동주 67주기 추모공연을 하게된다.

곡: 한은준 / 노래 :이지연 / 건반: 박윤혜 / 해금: 정제니 / 기타 :박주현,한은준 / 베이스:황두혁 / 드럼 :최보미

 


201-835-8692

 




 
윤동주(尹東柱, 1917년 12월 30일 ~ 1945년 2월 16일)는 한국독립운동가, 시인, 작가이다. 아명은 윤해환(尹海煥),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중화민국 지린 성에서 출생,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숭실중학교 때 처음 시작을 발표하였고, 1939년 연희전문 2학년 재학 중 소년(少年) 지에 시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일본 유학 후 도시샤 대학 재학 중, 1943년 항일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후쿠오카 형무소(福岡刑務所)에 투옥, 100여 편의 시를 남기고 27세의 나이에 고문 후유증으로 요절하였다. 그의 사후 일본군에 의한 마루타, 생체실험설이 제기되었으나 불확실하다. 사후에 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출간되었다.

일제 강점기 후반의 양심적 지식인의 한사람으로 인정받았으며, 그의 시는 일제조선총독부에 대한 비판과 자아성찰 등을 소재로 하였다. 그의 친구이자 사촌인 송몽규 역시 독립운동에 가담하려다가 체포되어 일제의 생체 실험 대상자로 분류되어 처형당하였다. 1990년대 후반 이후 그의 창씨개명 ‘히라누마’가 알려져 논란이 일기도 했다. 송몽규는 고종 사촌이었고, 가수 윤형주는 6촌 종형제간이기도 하다.

KCC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