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의 시작

 

“저 사람 이름이 뭐였더라? 이름이 가물가물하네!”

“좀 전에 시계를 풀어서 어디다 뒀더라?”

40~50세쯤 되면 누구나 한두 번 경험한 증상이다.

이처럼 깜빡깜빡하는 일이 너무 자주 반복되면

””나 혹시 치매 아냐?”” 하고 걱정하게 된다.

그러나 치매와 건망증은 다르다.

치매는 기억 전체를 잊어버리는 것이지만

건망증은 평범한 노인에게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일로 기억의 일부를 잊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 가족 이름이 생각나지 않는다거나

날짜나 요일 개념이 가물가물하고

심지어 자기 집으로 가는 길을 까먹어 헤매야 하는 정도라면 치매를 의심해볼 만하다.

수명이 늘고 고령화사회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치매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지난 11년간 노인치매 외래진료의 연평균 증가율은 25.4%로 20개 주요 질환 중 가장 높았다.

치매 원인은 퇴행성 질환( 알츠하이머병), 뇌혈관 질환(혈관성 치매), 대사성 질환(영양결핍),

내분비질환, 감염성 질환, 중독성 질환, 뇌종양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치매 중 알츠하이머는 전체 치매의 50~7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유형이다.

치매환자의 20~30%를 차지하는 뇌혈관성 치매는

고혈압이나 당뇨병, 술과 담배와 같이 뇌혈관에 해로운 환경에 노출되면서 발생한다.

술에 의한 알코올성 치매는 전체 환자의 약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혈관질환ㆍ우울증 등도 치매진행 촉진 치매는 노인성 반점,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면서 시작된다.

아밀로이드가 쌓이기 시작하는 나이는 평균 50세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노인성 반점은 자라면서 뇌의 신경세포를 무참히 파괴하며 뇌 기능을 점차 위축시킨다.

15년 정도 지나면서 비정상적으로 쌓인 베타아밀로이드의 양은 일정량에 다다르지만,

아직 우리가 소위 말하는 노망과 같은 치매 증상을 일으킬 정도로 위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치매 발병 직전이라는 얘기다.

만약 이 상태를 계속 방치할 경우 노인성 반점이 점점 커져 대뇌피질 전체로 퍼져

뇌를 장악해 가다가 어느 날 결국 한계에 다다르게 된다.

이때가 되면 평소와 다른 언어와 행동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확장된 노인성 반점은 본격적으로 그 기세를 몰아서 대뇌피질 전체를 장악해

진짜 치매로 발전한다.

 

글 보낸이:  라 종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