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의 마지막 전화

 

아들의 마지막 전화

 

 미국의 한 부부가 겪은 가슴 아픈 이야기입니다. 

월남전이 끝나가던 어느 해 휴가철이었습니다.
사교계에서는 축제가 한창이었습니다.
부부가 어느 파티에 참석하려고 막 집을 나서는데
전화벨이 울렸습니다.
아들의 전화입니다.
“엄마, 저예요.
베트남에서 군복무가 끝나서 돌아가려고요.”
“정말 잘 되었구나. 그럼 집에는 언제 오니?”
엄마가 물었습니다.
“그런데 친구 한명을 집에 데려가고 싶어요.”
“물론 괜찮다. 며칠 간 함께 지내렴.”
“엄마,
그런데 그 친구에 대해 미리 알아둬야 할 사실이 있어요.
다리는 모두 잘렸고 한쪽 팔이 없어요.
얼굴도 심하게 손상되었고 눈과 귀도 한쪽씩 잃었어요.
별 볼 일 없긴 하지만 쉴 곳이 꼭 필요한 친구예요.”
그의 어머니는 머뭇거렸습니다.
“쉴 곳이 필요하다고?
그렇다면 우리 집으로 데리고 와서 며칠 같이 지내거라.”
“제 말을 이해 못하시는군요.
전 그 친구와 같이 살고 싶다는 말이에요.”
“얘야, 그 친구와 함께 산다는 건 무리라고 생각한다.
어서 와서 휴가를 함께 보내자.
그리고 네 친구 말인데 사정은 안됐지만
주위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겠니? 또 뭐라고 설명할 거니?
네 아빠에게나 친척들한테도…….”
이야기를 미처 끝내기도 전에 아들은 전화를 끊었습니다.
그날 밤 부부가 파티에서 집으로 돌아왔을 때,
캘리포니아 한 마을의 경찰서에서 전화를 달라는 메시지가 남겨 있었습니다.
어머니는 전화를 걸어 경찰서장을 찾았습니다.
경찰서장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오늘 길에서 한 젊은이를 발견했습니다.
두 다리와 한쪽 팔이 없고 얼굴은 심하게 손상되어 있었죠.  

눈과 귀도 한쪽씩 없었는데 머리에 총을 쏘아 자살했더군요.
신원을 확인해보니 당신의 아들이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실제로 있었던 실화입니다.
무조건적인 수용은 사실 많은 사람들에게 쉬운 일이 아닙니다.
아들이 말한 친구가 자기의 아들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도 못했습니다.
불쌍한 젊은이를 받아드리는 넓은 가슴이 있었다면
그 아들의 전화가 마지막은 아니었을 것입니다.

탕자를 받아드리는 아버지처럼 남의 곤경을 받아드리는 넓은 마음이 아쉽습니다.

 

글 보낸이: 라 종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