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사람과 죽은 사람


타이타닉호 침몰 때 산 사람과 죽은
사람

살아난 남자중엔 타이타닉호를 보유한 화이트스타라인 회장
브루스 이스메이도 있었다.


趙甲濟      


1912년 4월14일 밤 세계 최대의
여객선인 타이타닉호가 처녀항해중 대서양에서 氷山과 충돌, 15일 이른 새벽에 침몰하였을 때 2223명이 타고 있었다. 31.8%인 706명만이
살아남고 1517명이 사망하였다.
여자승객의 74%, 어린이의 52%가 살아남았는 데 반하여 남자승객의 20%만이 구조되었다.

1등석 승객 중에서 어린이 전원과 144명의 여성 중 139명이 살았고 남성은 70%가 죽었다.
어린이와 여성들을 우선적으로
구명보트에 태웠기 때문이다.

2등석 손님 중에선 여성의 80%가
구조되었고, 남자의 90%가 죽었다.
1,2등석 손님들은 당시 미국과 영국의 최상류층이었다.
미국 최고의 부자라고 불리던 존
제이콥 아스톨씨는 아내를 데리고 와서 보트에 태운 뒤 同乘(동승)하기를 거부하고 배에 남아 있다가 죽었다.
또 다른 巨富(거부) 벤자민
구겐하임은 자신에게 돌아온 보트의 자리를 여성에게 양보하고 죽었다.
그는 그 여성에게 ‘내 아내에게 내가 정정당당하게 행동했다고
전해달라’고 부탁했다.
월래스 하트레이가 지휘하던 8명의 樂團(악단)은 전원 사망하였다.
이들은 기울어가는 갑판에서 계속 연주를
하였다.
공황상태에 빠진 승객들의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배가 거의 수직으로 기울어 침몰을 시작할 때까지 연주를
했다고 하여 타이타닉호를 다루는 영화에마다 등장하는 장면이 되었다.

이 樂團이 마지막으로 연주한 곡목에 대하여는 이견이 많으나 찬송가 ‘내 주를 가까기 하게 함은’이라는
게 定說(정설)이다.
하트레이는 평소에도 ‘만약 내가 탄 배가 침몰하면 ‘내 주를 가까이 하게 함을’을 연주하겠다’고 친구들에게 말하곤
했다고 한다.

살아난 남자중엔 타이타닉호를 보유한 화이트스타라인
회장 브루스 이스메이도 있었다.
이스메이는 선장에게 속도를 더 내도록 압박, 사고의 한 원인을 제공하였다는 비판을 받았다.

氷山(빙산)과 충돌한 뒤에도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고) 속도를 늦추지 말라고 선장에게 지시, 침몰을 앞당겼다는 주장도 있다.

그에 대한 비방의 핵심은 최종책임자가 어떻게 살아났느냐였다.

선장도 죽고 수많은 영국과 미국의 부자들이 구명정 탑승을 포기, 배와 같이 침몰하였다.
미국 최고 부자중 한 사람이었던 구겐하임은
애인을 데리고 탔었는데 애인을 구명정에 태워 보내고 자신은 남아 ‘신사답게'(바에서 술잔을 비우면서) 최후를 맞았다.

이스메이는 구명정 C를 탔는데, 그는 “배를 탈 때 둘러봤더니
아무도 없었다”고 변명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는 타이타닉호가 거의 수직으로 침몰할 때 얼굴을 돌렸다고 한다.
그가 만든
배가 처녀항해에서 비참한 꼴을 당하는 걸 차마 볼 수 없었다고 한다.

영국과 미국의 언론은 이스메이를 ‘타이타닉호의 비겁자’라고 부르면서 조롱하였다. 한 작가는 그를
비방하는 詩를 썼다.
“캄캄한 밤중의 바다에서 끔찍한 죽음을 맞는 건 바닷사람의 의무이고, 군중과 함께 도망치는 건 船主(선주)의 고귀한
권리인가?”라는 문장도 있었다.

영국의 上流(상류)사회도 그를
파문하다시피 하여 상대해주지 않았다.
그는 곧 해운회사에서 은퇴, 아일란드에서 은둔생활을 하다가 1937년에 74세로 죽었다.

월남전 때 미군 사령관이었던 웨스터모어랜드 장군은 미국의 정예
공정사단의 사단장으로 근무했던 적이 있었다.
이 부대가 낙하 훈련을 했다.
물론 그도 뛰어내렸다.
그날 강풍에 휘말려
부대원 7명이 죽었다.
다음날도 강풍이 불었으나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은 낙하 훈련을 중단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다만, 자신이 먼저
뛰어내려 강풍을 확인해볼테니 기다려보라고 했다.
사단장이 홀로 낙하했다.
着地(착지)엔 성공했으나 낙하산이 强風(강풍)에 휩쓸려
끌려가다가 겨우 정지했다.
그는 부하들에게 지시하여 훈련을 중단시켰다.

영국의 자유민주주의는 누가 만들어서 준 것이 아니라 자본가들이 王權(왕권)과 싸워 쟁취한 것이다.

그들은 富에 따른 명예와 의무를 생활신조로 삼았다.
영국의 신사는 힘 센 사람이 아니라 ‘신사답게 행동하는 사람들’이었다.

대부분이 자본가였다.
체제를 만든 사람들이 그 체제의 혜택을 보면서 또 그 체제를 지키기 위해서 희생할 자세가 되어 있었기 때문에
영국의 자본가들은 독재자와 선동가로부터 자유를 지켜낼 수 있었다.

오늘날 한국 자유민주체제의 가장 큰 수혜자인 자본가와 기업인들은 애국운동단체를 돕지 않는다.

오히려 자본주의와 자유민주주의의 敵(적)들을 돕고 있다.
그들은 독립투사들과 군인들과 혁명가들과 엘리트 관료들이 만들어준 체제의
혜택만 볼 뿐 체제를 싸워서 지켜내어야 한다는 생각을 한 적이 없는 비겁한 富者(부자)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