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어려움을 통과하고 계십니까?

 
어떤 여인의 책상 위에 여러개의 누에고치가 놓여있었다. 
그 누에고치 가운데 이미 누에나방이 나온 고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고치도 있었다.

그런데 이 누에고치들를 보고 있다가
이상한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것은 누에나방이 나온 고치에는 신기할 정도로
작은 구멍이 뚫어져 있다는 점이다.

이 여인은 그 작은 고치의 구멍을 보면서
‘어떻게 이렇게 작은 구멍으로 저런 큰 누에나방이
나올 수 있을까?’ 하고 화두가 걸리기 시작했다.

아무리 봐도 그 작은 구멍으로는 도저히 
누에나방이 나올 수가 없어 믿어지지가 않았다.


그런데 어느날 한 마리의 누에나방이
작은 구멍을 만들어 나오고 있었다.
구멍이 너무 작아 도저히 나올 것 같지 않은데 
누에나방은 긴 시간을 통해 갖은 몸부림을 치며 용케도 나오고 있었다.

여인은 누에나방이 작은 구멍을 통해
세상에 첫발을 내딛는 것을 지켜보다가 왠지 가엾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다른 누에나방이 세상에 편하게 나오도록 
도와주기 위해 가위로 누에고치의 구멍을 크게 만들어 주었다. 

그러자, 다른 누에나방은 날개가 찢기는 등
갖은 고통을 당하며 누에고치에서 겨우 빠져나오는데 반해,

가위로 크게 구멍을 내준 고치에서 나온 나방은 
아무런 상처 없이 쉽게 나와 아름다운 날개를 펄럭였다.

이를 보고 여인은 자기가 한 일을 스스로 잘 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게 왠일인가!
잠시 뒤에 벌어진 상황은 전혀 다른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작은 구멍을 통해 힘들게 비집고 겨우 세상으로 나온 나방은

한 마리 한 마리씩 날개를 치며 공중으로 훨훨 날아오르는데, 
가위로 구멍을 뚫어준 고치에서 쉽게 나온 나방은  
날개를 푸드득거리다가 날지 못하고 
그만비실비실 책상위를 돌더니 지쳐서 잠잠해져 버리는 것이 아닌가. 

이 과정을 끝까지 지켜본 여인은

누에나방은 작은 구멍으로 나오며 애쓰는 동안 
힘이 길러지고 물기가 알맞게 골라 마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날게 되지만,
그 과정을 겪지 않고 나온 나방은 순간적으로 편하게 나오긴 했지만 
나를수가 없다는 이치를 크게 깨달았다고 한다. 


이 내용은 카프만 부인이 쓴
「광야의 샘」이라는 책에서 나온 이야기입니다.
 
 
우리들 사는 것도 이와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온갖 고통과 산전수전을 겪은 사람은
어떠한 험한 세상에서도
어떠한 역경과 어떠한 고난이 닥치더라도
이에 굴하지 않고 꿋꿋이 이겨내나가고
즐겁게 살아가지만,

그렇지 않고 온실 속에서 자란 화초같이  어려움이 없이 크고 
부족함이 없이 살아온 사람은 조그마한 경계에도
쉽게 좌절하고 쉽게 무너지고
쉽게 포기해 버리고 만다는 사실입니다.

아울러,
우리가 우리 주변의 사람들이 어려움에 처해 있을때
생각을 해주고 고통과 어려움을 덜어주고
도움을 준다는 것이

오히려 그 사람의 앞길을 막는 길도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우쳐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들이 살아가는데 겪게 되는
각종 고통과 좌절, 역경과 온갖 슬픔들이
오히려 은혜가 되고 축복이 되며,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한 반석이 됨을 잊지말고
도움을 줄 때도 상대방의 근기를 봐서 도와주며 살아야겠습니다.


 
글보낸이: 김 광 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