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께 소망을 두라

 

하나님께 소망을 두라      시 43:5 

전북 임실의 산골마을에서 유태영이라는 사람이 태어났다. 그의 가정
은 얼마나 가난했는지 아버지는 남의 집 머슴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어머니가 그에게 당부한 말씀은 “전능하신 하나님을 의지하라”는 것이
었다. 가난했던 그의 어머니는 아들의 손을 잡고 수시로 “전능하신 
하나님, 우리 태영이를 도와주세요”라고 기도하였다. 머슴의 아들로 
태어나 집안에서 유일하게 국민학교에 입학했고, 초등학교 졸업 후 
중학교를 갈 수 없어 독학하다가 열 여덟 살에 비로소 중학교를 졸업
했다 그리고는 무작정 상경, 구두닦이, 신문팔이, 아이스 케이크 행상 
등을 하며 겨우 야간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어느 때는 너무 배고파서 
쓰레기통에서 곰팡이난 빵을 꺼내 먹기 일 쑤였고 냉방에서 담요 한 
장으로 겨울을 지내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그런 말할 수 없는 고생을 
겪으면서도 어려서 믿기 시작한 하나님만 철저히 의지하면서 ‘나를 
사랑하시는 하나님이 계신데 무엇이 두려우랴.’라는 단순한 믿음으로 
이기었다. 찌들어지게 가난했고 장래를 보장받을 수 없는 암담한 현실
이었지만, 그는 구두닦이를 하면서도 유학의 꿈을 꾸었고, 이틀을 굶고
서도 견딜 수 있는 힘을 주신 분께 감사했다. 꿈꾸는 청년 류태영에게 
그 꿈이 현실로 다가왔다. 

그는 맨주먹임에도 불구하고 농촌을 살리겠다는 꿈을 가지고 덴마크 
유학을 위해서 매일 새벽기도를 하기를 13년을 했다. 그는 기도할 때
에 ‘바라봄의 법칙’에 따라 기도했다. 즉 덴마크 유학을 위해서 기도할 
때에 덴마크에 가 있는 모습을 그리면서 기도했다. 그렇게 열심히 기도
한 후에 덴마크 국왕 프레드릭 9세에게 유학 청원을 보냈는데 40일 만
에 답장이 오기를 유학 허락과 더불어 왕복 비행기표까지 동봉해 옴으
로 기적가운데 덴마크 유학을 할 수 있었다. 유학이라는 말을 처음 
접한지 13년만에 구두닦이 소년 류태영은 덴마크 국비 장학생으로 유학
을 가게 된 것이다. 당시 우리나라와 덴마크는 수교도 없던 터라 그의 
유학, 그것도 편지 한 통 쓰고 그 나라의 초청을 받아 유학가는 경우는 
거의 기적이었다. 그는 그 나라에서만이 아닌 전세계를 순회하며 농촌
을 비교연구하겠다는 당찬 꿈을… 그는 덴마크 정부 특별 예산 약 3만 
달러를 지원받아 유럽의 여러나라를 여행하며 많은 공부를 할 수 있었
다. 결국 환경이 문제가 아니라 해보기도 전에 안될 것이라고 포기하는 
우리의 마음자세가 문제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일화이다. 

귀국후 그는 청와대의 초청으로 우리나라에 새마을운동을 전개하는 
핵심에서 일하게 되었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 대통령의 감동을 자아
냈던 그의 강의 일화는 너무도 유명하다. 모든 것이 안정되고 아무 걱정
이 없는 상황이었지만, 다시 이스라엘의 협동농장을 배우고 싶어서 이스
라엘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냈더니 유학 허락이 나왔고 국비장학생으로
까지 선발되었다. 1973년 4월, 나이 37세에 류태영은 이스라엘 국비 
장학생으로 유학길에 올랐다. 큰 문제는 언어장벽이었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사용하는 문장이 500개이니 주일을 제외하고 매일 
10마디씩 외우자. 이것이 유학생활의 첫 여리고성이다,’라고 결심했다. 
그렇게 3개월 했더니 어렵기로 소문난 히브리어를 자유롭게 구사, 8개월
만에 난공불락의 성, 히브리대학교 대학원에 합격했다. 그리고 4년 반만
에 히브리대학의 석사과정을 수석으로 졸업했고 박사학위를 받았을 뿐 
아니라 동양인으로는 처음으로 벤구리온대학의 사회학 교수로 일하게 
되는 기적적인 일을 이룩하게 되었다. 그 때부터 류태영은 이스라엘에서 
전설처럼 회자되는 인물이 되었다. 

7년간의 이스라엘 생활을 청산하고 귀국하게 된 것도 그의 조국사랑에 
기인한다. 그는 아무리 그곳에서의 생활이 안정되고 인정을 받아도 한시
도 조국을 잊어본 적이 없었기에 결국 귀국, 모교인 건국대학교에서 교수
로 재직하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에게 도전과 희망을 안겨주고 있다. 
그 모든 기적 같은 일들은 자기가 무슨 천재여서가 아니고 철저히 하나님
의 능력만 의지한 탓인데 그는 하나님께 열심히 기도하는 것은 물론이고 
새벽기도회, 주일예배, 삼일예배에 참석하는 것을 철칙으로 삼을 정도로 
오직 하나님만 의지하는 믿음으로 살므로 하나님이 이런 기적적인 삶을 
살게 하셨다고 간증하고 있다..

 

글보낸이: 홍은성 목사